4월8일 (토)

SetGID
- 프로세스가 실행한 사용자의 GID가아닌 소유한 그룹의 GID권한으로 실행된다.
- SetGID가 설정된 디렉토리에서 만들어지는 파일은 모두 해당 디렉토리의
  소유 그룹 허가권을 갖는다.
 
SetGID 설정밥법
- 기호모드 (g+s)
- 숫자모드 (2000)

- 팀단위로 작업할 경우 모든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도록 할때 사용된다.

Sticky Bit
- 모든 사용자가 생성/수정/삭제가 가능한 디렉토리에 적용하며, StickyBit 설정 후
  에는 해당 파일의 소유자만 해당 파일을 삭제할 수 가 있다.
 
StickyBit 설정
-기호모드 (o+t)
-숫자모드 (1000) 
 
  #cd /practice
  #mkdir sticky_test
  #cd sticky_test
  #mkdir temp1 temp2
 
  #chmod 1777 temp1   // 스티키 설정
  #chmod 777 temp2   // 일반 777 권한 설정

  #touch ./temp1/test1      // 테스트 파일 생성
  #touch ./temp2/test1      // 테스트 파일 생성

  #chmod 777 temp1/test1    // 777 허가권으로 수정
  #chmod 777 temp2/test1    // 777 허가권으로 수정
 
  #useradd web-admin1  // 사용자 계정 추가
  #su - web-admin1   // 계정으로 스위칭
 
  $cd /practice/sticky_test
  $cd temp2
 
  $ll
  rwx rwx rwx -> test1
  $rm test1     // 파일 삭제 가능
 
  $cd ..
  $cd /temp1
  $ll rwx rwx rwx -> test1
  rwx rwx rwx ->test1  // 파일 삭제 가능
  $rm test1
  rm: cannot remove `test1': 명령을 허용하지 않음
 
  허가권이 있음에도 삭제(rm, mv)를 할수가 없다.
 
 
  속성 (attribution)
  chattr - 특정파일에 속성을 변경하고자 할때 사용
  lsattr - 특정파일에 속성을 확인하고자 할때 사용
 
  속성의 종류
  i (immutable)   - 해당 파일의 내용 변경, 삭제, 링크 생성 등을 할수가 없다.
  a (append only) - 해당 파일의 내용만 추가가 가능하고, 삭제, 링크 생성 등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할 수 가 없다.
 
  +  지정한 속성을 추가
  -  지정한 속성을 제거
 
  a_test 파일에 a속성 추가
  #cat > a_test    // X
  #cat >> a_test   // O
  #vi a_test    // X
  #rm a_test    // X
 
  e는 ext4 포멧을 ext3 포멧으로 변형시켜 주는 것
 
 
  ACL (Access Control List / 접근 제어 목록)
- 디렉토리 및 파일에 특정 사용자, 그룹에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
  기능이다.

  getfacl [옵션] - 파일과 디렉토리에 ACL 설정 확인
  -d   기본 정보에 대해 확인
  -R  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적용
 
  setfacl [옵션] [규칙] [파일명] 
  - 파일과 디렉토리에 ACL 설정
 
  -m 권한을 수정할 때 사용
  -x 권한을 삭제할 때 사용
  -R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적용
  -b 권한 및 mask를 전부 제거
 
  규칙
  u:[UID]:[권한] - 사용자에 대한 ACL을 설정
  g:[GID]:[권한] - 그룹에 대한 ACL을 설정
  o:[권한]   - 기타사용자에대한 ACL을 설정
  ex) 계정명 test1
      test1 계정의 UID 500
 
   1. u:500:rwx      group:500:rwx
   2. user:500:rwx         g:S-GROUP:rwx
   3. user:test1:rwx      other:rwx
   4. u:test1:rwx
   5. u:test1:1  -> --x   u:test1:7
   6. u:test1:2     -> -w-
   7. u:test1:7     -> rwx
 
 
# getfacl S-LV01   // S-LV01 디렉토리에 ACL설정을 확인

# file: S-LV01    // 파일/디렉토리의 이름
# owner: root    // 소유자
# group: S-GROUP   // 소유 그룹
user::---     // 사용자 허가권
group::rwx     // 그룹 허가권 
other::---     // 기타 사용자 허가권

#setfacl -m user:I-USER1:rwx S-LV01
// 사용자:I-USER1:가 S-LV01 디렉토리에 rwx권한 설정

#getfacl S-LV01
# file: S-LV01
# owner: root
# group: S-GROUP
user::---
user:I-USER1:rwx  // I-USER1 계정 추가 확인
group::rwx
mask::rwx
other::---

[root@Server-A test] # ll
d---rwx---+ 2 root S-GROUP 4096 2017-04-08 10:39 S-LV01
d---rwx---. 2 root S-GROUP 4096 2017-04-08 10:39 S-LV02

I-GROUP을 추가 한 후, I-USER1을 I-GROUP에 속하도록 설정
S-LV02 디렉토리는 I-GROUP에 속한 사용자들은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
I-USER1 계정으로 S-LV02 접근 가능 확인

#setfacl -m group:I-GROUP:rwx S-LV02


프로세스
- 시스템 초기화 프로세스
 init -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시스템 초기화 프로세스

프로세스 (Process)
 - 커널의 관리하에 현재 시스템에서 동작중인 프로그램이다.
 - init을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-자식 관계를 가지고 있다.
 
프로세스 종류
 - 데몬 (daemon) 프로세스
   커널에 의해서 실행되고,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고 있는 프로세스
  
 - 부모(parent) 프로세스 
 - 자식(child) 프로세스
  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프로세스이다.
   자식 프로세스는 종료시 부모 프로세스에게 결과를 전달하고 죵료된다.
  
 - 고아(orphan) 프로세스
   자식 프로세스보다 먼저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을때 해당 자식 프로세스는
   고아 프로세스가 되어 init 프로세스가 관리를 한다.
  
 - 좀비(zombie,defunct)프로세스
  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신호를 부모 프로세스가 처리하지 못할 경우, 자식 프로세스는
   좀비 프로세스가 된다.
  
   ps (Process Status) - 시스템에 동작중인 프로세스 확인
  
   -e  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리스트 출력
   -f   full format 으로 출력
  
   -a   다른 사용자들의 프로세스도 출력
   -u   사용자 이름, 시간 등 상세한 정보를 출력
   -x 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
  
   #ps -ef
   UID - 프로세스를 실행 시키는 프로세스의 소유자를 의미
   PID - 실행된 프로세에 부여된 숫자를 의미
   PPID - parents Process ID, 프로세스를 생성한 부모 프로세스의 PID
  
   #ps -ef | grep bash
   #ps -aux
  
   kill - 프로세스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상태를 변화시키는 명령어
   #kill -[시그널] [PID]
  
   시그널 종류 확인
   #kill -l
   2) SIGINT - 프로세스 종료
   15) SIGTERM - 프로세스 종료
  
   9) SIGKILL - 프로세스 강제 종료
   18) SIGCONT - 프로세스 재시작
   19) SIGSTOP - 프로세스 정지
  
   #kill -SIGKILL 1234
   #kill -9 1234
  
   1번 세션       2번세션
   #vi /etc/passwd     #ps -ef | grep vi  
         // vi /etc/passwd -> PID 확인
   #kill -9 [vi /etc/passwd PID]
         #ps -ef | grep vi   // 종료 확인
  
   #ps -ef | grep bash
  
   프로세스 동작 형태
   1. 포어 그라운드 (Foreground Process)
  - 프롬프트에서 입력하는 대부분의 명령어는 포어 그라운드로 동작
  - 명령어의 실행 과정이나 결과를 화면에 출력
  - 포어 그라운드로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종료되길 기다렸다가
    종료되면 다시 프롬프트(bash)를 보여주어 명령 대기 상태로 반환
   
   2. 백 그라운드 (Background Process)
  -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에 관계 없이 즉시 명령 대기 상태가되어
    다른 명령을 실행 할 수 있음
     - 백그라운드로 실행 시키기 위해 '&' (ampersand)를 붙여 사용
          
  ex) #[명령어] &
  작업번호와 PID를 출력하며 백그라운드로 동작
  
  
 #jobs - 백그라운드에 동작하는 프로세를 확인
    #fg -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어그라운드로 변경  
 #bg - 포어그라운드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변경
  #fg %[작업번호]
        #bg %[작업번호]
  
 #sleep [숫자값] - 숫자값 만큼 정지 
  
  
    18) SIGCONT - 프로세스 재시작
    19) SIGSTOP - 프로세스 정지
  
  
   순서대로 명령어 입력
   1번세션           2번세션   
   1. #/bin/bash
   2. #/bin/bash
   3. #/bin/bash
   4. #sleep 9999999 &
   5. #cat /etc/services | more
   6.            #pstree -p
   명령어 용도 생각해보기
  
   #exit
   #exit
   #exit
  
   순서대로 명령어 입력
   #clear           #clear
  
 1. #/bin/bash
 2. #vi /etc/passwd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3. #ps -ef | grep bash
             // 방금 실행 시킨 /bin/bash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PID 번호 확인
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4. #kill -9 [확인한 /bin/bash PID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vi /etc/passwd PPID]
             5. ps -ef
             // vi /etc/passwd 의 PID/PPID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확인
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 작업예약  at & cron
   - 주기적으로 반복해야 하는 작업에 사용
  
   #rpm -qa | grep at   // at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
   #rpm -qa | grep mail   // mail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
  
   #yum -y install at   // at 패키지 설치
   #yum -y install mail   // mail 패키지 설치
  
   #rpm -qa | grep at   // at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
   #rpm -qa | grep mail   // mail 패키지 설치 유무 확인
  
   #service atd start   // at 데몬 실행
   #yum -y install cron*
  
   at - 정해진 시간에 한번 실행
   형식 #at [옵션] [시간]
   옵션 -l 현재 실행 대기 중인 목록을 출력 (#atq)
        -r  현재 실행 대기 중인 작업을 삭제 (#atrm)
  
    시간 형태
 yyyy-mm-dd, HH:MM, today, tomorrow, hours, days,wekks, now, midnight...
  
   ex) #at 6pm + 4days // 지금부터 4일 후 오후6시에 작업을 수행
   ex) #at 10am jul 18  // 7월 18일 오전 10시에 작업을 수행
   ex) #at 3am tomorrow // 내일 오전3시에 작업을 수행
   ex) #at 10:00am today // 오늘 오전 10시에 작업을 수행
  
 ex)
 #at today + 1min   // at 실행
 at> ls -l
 at> <EOT>    // Ctrl + D 저장

 // EOT - End Of Transmission
 
 #at -l
 [작업번호][날짜][시간][큐이름][사용자]
 
 at 예약 작업은 /var/spool/at 디렉토리에 큐 파일이 임시 저장된 후, 저장이 완료되면
 자동으로 삭제가 되며, /var/spool/mail 디렉토리에 사용자명으로 결과가 저장된다.

 #cd /var/spool/mail
 #cat root
 
 #at now + 1min
 at> mkdir /practice/at_test
 at> echo "at test!!" > /practice/at_test/at_test1
 at> <EOT>
 
 #at -l   or  #atq
 
 cron - 정해진 시간에 반복 실행
 ex) 매일 오전 9시에 특정 파일 압축하여 전송
 ex) 매달 1일에 /var 디렉토리를 삭제하라
 
 #crontab //crontab 파일을 관리
    옵션 -l   crontab 파일을 출력
         -r   crontab 파일을 삭제
         -e   crontab 수정
         -u [사용자명] 해당 사용자의 crontab 설정
  
 분  시  일  월  요일  작업내용
 0~59    0~23    1~31  1~12       0~6        반복할 명령어/스크립트
 
 - 일요일 (0), 월요일(1), 토요일(6)
 - 사용자 별로 각각 crontab 생성이 되며, 해당 파일에 반복할 작업의 내용을 작성
 - 여러개의 작업도 저장할 수 있으며, 한 행에 하나의 작업을 설정
 - 항목에 '*' (asterisk)이면 해당 항목의 모든 값을 의미
 - ' - ' (hypen) 두 숫자 사이에 포함된 범위 (ex 1-5 == 1,2,3,4,5)
 - ' , ' (comma)로 구분하여 나열된 숫자 중 일치하는 경우 (ex 1,3,5)
 - ' / ' (slash)로 시간 간격을 지정 할 수 있다.
 
 #cat /etc/crontab   // 기본 양식

# .---------------- minute (0 - 59)
# |  .------------- hour (0 - 23)
# |  |  .---------- day of month (1 - 31)
# |  |  |  .------- month (1 - 12) OR jan,feb,mar,apr ...
# |  |  |  |  .---- day of week (0 - 6) (Sunday=0 or 7) OR sun,mon,tue,wed,thu,fri,sat
# |  |  |  |  |
# *  *  *  *  * user-name command to be executed

 #crontab -e
 ex) 30 23 1 * * cp -R /home/test /backup/home
 - 매요일 매월 1일 23시 30분에 /home/test를 /backup/home으로 복사하라
 
 ex) */2 10 * * * [명령어]
 - 매요일 매월 매일 10시에 2분마다 [명령어] 실행
 
 ex) 1-10 12 * * * [명령어]
 - 매요일 매월 매일 12시 1분 부터 10분까지 [명령어] 실행
 
 ex) 1,10 12 * * * [명령어]
 - 매요일 매월 매일 12시 1분, 10분에 [명령어] 실행
 
   분  시  일  월  요일  작업내용
 0~59    0~23    1~31  1~12       0~6        반복할 명령어/스크립트
 
#crontab -e 
문제 1) 매요일 매월 매일 매시 1,2,3분에 /practice 디렉토리에 test1 파일 생성
확인 - #crontab -l
#date -s "2017-04-08"
1,2,3 분에 /practice 디렉토리에 파일 생성 확인


#mkdir -p /home/cron_test
#crontab -e
1,2,3 * * * * touch /home/cron_test/cron1_`date +\%H-\%M`
1-3 * * * * touch /home/cron_test/cron2_`date +\%H-\%M'
#date -s "2017-04-08"
#watch -d -n 1 "ls -l /home/cron_test"

crontab 명령 사용 제한하기

/etc/cron.allow, /etc/cron.deny 파일로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/차단 할 수 있다.
한줄의 사용자 계정명 하나씩만 작성하며, /etc/cron.deny 파일은 기본적으로 있지만
/etc/cron.allow 파일은 관리자 직접 만들어야 한다.

- /etc/cron.allow 파일이 있을 경우
 -> 해당 파일에 명시된 사용자만 사용 가능
- /etc/cron.allow 파일은 없고, cron.deny 파일이 있을 경우
    -> cron.deny 파일에 명시 되지 않은 사용자만 사용 가능
- /etc/cron.allow, cron.deny 파일이 둘 다 없을 경우
    -> root 만 사용이 가능
 
 #useradd cron_user1  // 테스트 계정 추가
 #su - corn_user1  // 테스트 계정 스위칭
 $crontab -e    // 테스트 계정 crontab 명령어 실행
 종료     // 실행 가능
 $exit
 
 #vi /etc/cron.deny  // 차단 파일 수정
 cron_user1    // 차단할 계정명 입력
 :wq      // 저장 후 종료
 
 #su - corn_user1  // 테스트 계정 스위칭
 $crontab -e          // 테스트 계정 crontab 명령어 실행
       // 실행 불가능
 $exit

 #mv /etc/cron.deny /etc/cron.deny_bk  // deny파일 이름 변경
 // allow 파일도 없고, deny 파일도 없는 경우 테스트
    #su - S-USER1
 $crontab -e    // 명령어 실행 여부 확인

vi를 이용하여 /etc/cron.allow 파일을 생성 한 후,
내용에 S-USER1 추가, S-USER1 과 cron_user1 계정 각각 crontab 명령어 사용 가능 여부 확인
 
 
 

 

 

 

 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'리눅스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AID종류와설정  (0) 2017.04.15
빠진날 3  (0) 2017.04.15
빠진날 1  (0) 2017.04.15
계정생성  (0) 2017.04.01
환경 변수  (0) 2017.04.01

 

gpasswd - /etc/group, /etc/gshadow 파일을 관리한다.
#gpasswd [옵션] [그룹명]
-a [계정]   사용자 계정을 그룹에 추가한다.
-d [계정]  사용자 계정을 그룹에서 삭제한다.
-r     그룹 암호를 삭제한다.

1. 사용자 계정 추가
#useradd member1
#useradd member2

2. 그룹추가
#groupadd -g 2017 group2017
#cat /etc/passwd | tail -2    // 계정 생성 확인
#cat /etc/group  | tail -1     // 그룹 생성 확인

3. 사용자 계정을 그룹에 추가
#gpasswd -a member1 group2017  // member1 계정을 group2017 그룹에 추가
#usermod -G 2017 member2   // member2 계정을 group2017 그룹에 추가
            group2017 member2  

#cat /etc/passwd | tail -2    // GID 필드 확인
#cat /etc/group  | tail -1     // 멤버 필드 확인
group2017:x:2017:member1,member2

#groups [계정명]
#groups member1 member2
[계정명]: [주그룹] [보조그룹] ... [보조그룹]
member1 : member1 group2017
member2 : member2 group2017

4. 그룹 멤버 삭제
#gpasswd -d member2 group2017  // group2017 그룹에서 member2 계정 제거
#cat /etc/group | tail -1
#groups member2

5. 그룹 암호 설정
#gpasswd group2017   // group2017 그룹에 패스워드 설정
group2017 그룹의 암호를 바꾸는 중
새 암호:
새 암호를 다시 입력하십시오:

#cat /etc/gshadow | tail -1  // 패스워드 설정 확인

6. 그룹 패스워드 용도 확인
#gpasswd -a member2 wheel  // member1 계정을 wheel 그룹에 추가
#id member2
uid=1240(member2) gid=1241(member2) groups=1241(member2),10(wheel)

#su - member2      // member2 계정 스위칭
$groups        // 소속 그룹 확인
member2 wheel       // 주 그룹  member2
            보조그룹 wheel
$newgrp wheel      // member2 <--> wheel
$groups        // 주그룹 member2를 wheel 로 변경 
wheel member2      

$newgrp group2017     // 자신이 속한 그룹이아닌 다른 그룹으로
$groups        // 주그룹을 변경
group2017 wheel member2    // group2017 그룹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변경 시 해당 그룹에 암호가 필요하다.
           
sudo 권한 설정
사용자 추가나, 시스템 종료 등 특정 명령어만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것

sudo 권한 설정 파일
/etc/sudoers

sudo 권한 설정 명령어
visudo == vi /etc/sudoers  // 차이점은 오타나 문법이 틀렸을때 저장이 안됨
vipw == vi /etc/passwd
vigw  == vi /etc/groups

     90 ## Allow root to run any commands anywhere
     91 root    ALL=(ALL)       ALL
    
[계정명]  [호스트]=(옵션)  [명령어]
 

실습 1
 (1)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( member1 ) 후, 일반 사용자가
       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 3개 찾기
  
 (2) 명령어 실행이 불가능 한 것 확인 후, 해당 명령어가 위치한
     절대 경로 확인 ( shutdown, reboot, halt 등 제외 )
 
 절대 경로 확인 방법 - #which [명령어]

 명령어 1 경로 : /usr/sbin/useradd
 명령어 2 경로 : /usr/sbin/usermod
 명령어 3 경로 : /usr/sbin/userdel

 
#visudo
member1 ALL=/usr/sbin/useradd, /usr/sbin/userdel, /usr/sbin/usermod 
           
#su - member1
$passwd       // 암호 설정
$sudo [명령어]
$sudo useradd sudotest-1
[sudo] password for member1: // member1 암호 입력
$cat /etc/passwd | tail -1    //sudotest-1 계정 생성 확인

$sudo usermod -c "sudo-test" sudotest-1  //usermod 실행 확인
$cat /etc/passwd | tail -1    //sudotest-1 계정 정보 변경 확인

$sudo userdel -r sudotest-1   // sudotest-1 계정 삭제
$cat /etc/passwd | tail -1   // 계정 삭제 확인

패스워드 없이 sudo 명령어 사용 설정
#visudo
member1 ALL=NOPASSWD: /usr/sbin/useradd, /usr/sbin/userdel, /usr/sbin/usermod 
 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패스워드 정책 설정

chage - 패스워드 정책 설정
-l  설정 내용 확인

-d : 최종 암호 변경일 (/etc/shadows 3번째 필드) 
-m : 암호를 변경한 후 다시 변경할 수 있는 최소 기간 (/etc/shadows 4번째 필드)
-M : 유효한 암호의 최대 일 수 (/etc/shadows 5번째 필드)
-W : 사용자가 암호가 만료되기전 경고할 일 수 (/etc/shadows 6번째 필드)
-I : 암호 유효기간이 발료된 후 사용자의 계정이 비활성화 될 일 수 (/etc/shadows 7번째 필드)
-E : 사용자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유효기간 (YYYY/MM/DD) (/etc/shadows 8번째 필드)

시스템 날짜 변경
#date -s "2017-04-02"
2017. 04. 02. (일) 00:00:00 KST

계정명 : member1  계정 유효 기간 : 2018-04-02

최초 설정한 암호는 최소 하루뒤에 변경 할 수 있으며, 암호는 10일에 한번씩 변경해야 하고,
최소 3일 전에 암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경고를한다. 만약 암호가 만료된 10일 뒤에도
암호를 변경하지 않으면 계정을 비활성화 시킨다.

#passwd memeber1

#chage -l member1  //member1 계정의 패스워드 정책 확인
마지막으로 암호를 바꾼 날     : 4월 02, 2017
암호 만료         : 안함
암호가 비활성화 기간      : 안함
계정 만료         : 안함
암호를 바꿀 수 있는 최소 날 수    : 0
암호를 바꿔야 하는 최대 날 수    : 99999
암호 만료 예고를 하는 날 수     : 7


최초 설정한 암호는 최소 하루뒤에 변경 할 수 있으며 ( m 1  )
암호는 10일에 한번씩 변경해야 하고,       ( M 10 )
최소 3일 전에 암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경고를한다.  ( W 3  )
만약 암호가 만료된 10일 뒤에도 암호를 변경하지 않으면 계정을 비활성 ( I 10 )
계정 유효 기간 : 2018-04-02       ( E 2018/04/02 )

#chage -E 2018/04/04 -m 1 -M 10 -W 3 -I 10 member1
#chage -l member1

마지막으로 암호를 바꾼 날     : 4월 02, 2017
암호 만료         : 4월 12, 2017
암호가 비활성화 기간      : 4월 22, 2017
계정 만료         : 4월 04, 2018
암호를 바꿀 수 있는 최소 날 수    : 1
암호를 바꿔야 하는 최대 날 수    : 10
암호 만료 예고를 하는 날 수     : 3


  1번 세션 (root)      2번 세션 (member1)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#su - member1
           $passwd
           (현재) UNIX 암호:
           암호 변경을 위해 조금더 기다려 주십시오. 
  
  #date -s "2017-04-03"    $passwd
  
  #date -s "2017-04-09"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  #date -s "2017-04-10"  2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  #date -s "2017-04-11"  1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  #date -s "2017-04-12"  0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  #date -s "2017-04-13"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
 

#date -s "2017-04-02"
#passwd member1
#chage -E 2018/04/04 -m 1 -M 10 -W 3 -I 10 member1
#chage -l member1  
#chage -d 2017/04/02 member1

#date -s "2017-04-09"  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#date -s "2017-04-10"  2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#date -s "2017-04-11"  1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#date -s "2017-04-12"  0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#date -s "2017-04-13"      $su - memeber1  // member1 로그인

 

디렉토리 및 파일의 권한과 소유권
-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접근 할 수 있는 권한 및 소유권 부여되어있다.
-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을 제한 것을 허가권(Permission)이라 한다.
-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한을 소유권 (Ownership) 이라고 한다.


실습용 계정,그룹 생성
#groupadd -g 800 web_user
#groupadd -g 900 web_admin

#useradd -g 800 web-user1
#useradd -g 900 web-admin1

#cat /etc/passwd
web-user1:x:500:800::/home/web-user1:/bin/bash
web-admin1:x:501:900::/home/web-admin1:/bin/bash

#ll /bin/ls
-rwxr-xr-x. 1 root root 109208 2016-05-11 17:59 /bin/ls
    root    root
  [소유계정] [소유그룹]


chown (change ownership / 소유권 변경)

형식 - #chown [소유계정]:[소유그룹] [파일/디렉토리명]

#cd /home/web-user1
#touch test
#ll
-rw-r--r--. 1 root root 0 2017-04-02 12:29 test
#chown web-admin1 test  // test 파일의 소유자를 web-admin1 변경
#ll
-rw-r--r--. 1 web-admin1 root 0 2017-04-02 12:29 test

#chown web-user1 test
-rw-r--r--. 1 web-user1 root 0 2017-04-02 12:29 test

#chown web-admin1:web_admin test // test 파일의 소유계정:소유그룹 변경
-rw-r--r--. 1 web-admin1 web_admin 0 2017-04-02 12:29 test

test파일의 소유권 변경
소유계정 : web-user1
소유그룹 : web_user
  
#chown web-admin1:web_admin test
#chown web-admin1.web_admin test


형식 - #chown [소유계정]:[소유그룹] [파일/디렉토리명]
chown [계정명] [파일] 소유계정 변경
chown :[그룹명] [파일] 소유 그룹 변경

허가권 (Permission)

    -rwxrwxrwx
    
 -   r w x  r w x  r w x
파일 유형    사용자(User)  그룹(Group)  기타사용자(Other)
       소유 계정   소유 그룹
rwx의 의미
r (Read) - 읽기
w (Write) - 쓰기
x (eXecute) - 실행
- (bar) - 해당 권한이 없는 경우

ex)
rwxr-xr-x : 사용자는 읽기, 쓰기, 실행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고,
            그룹과 기타사용자는 읽기와 실행권한만 있다.
   
rw------- : 사용자만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, 그룹과 기타사용자는 아무 권한이 없다.

r-------- : 사용자만 읽기 권한을 가지고 있다.

#ll /etc/passwd /etc/shadow

chmod - 허가권 변경
- 기호 모드 (상대값) (symbolic mode) - 사람의 입장
- 숫자 모드 (절대값) (absolute mode) - 컴퓨터의 입장

chmod [옵션] [기호/숫자모드] [파일명]
-R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전부 적용

- 기호모드
 + : 허가권 부여     u : 사용자(소유자) 권한
 - : 허가권 제거     g : 그룹 권한
 = : 허가권 유지     o : 기타 사용자
 s : SetUID,SetGID 권한 부여  a : 사용자, 그룹, 기타 사용자 모두
 t : Sticky Bit 권한 부여

 ex) 허가권 rwx r-x r-x 파일명 test
  
  -> 그룹과 기타사용자의 x(실행)권한을 제거
  #chmod go-x test
  
  -> 그룹에는 쓰기권한 추가, 기타사용자에게 읽기, 실행권한 제거
  #chmod g+w,o-rx test
  
 #mkdir -p /practice/symbolic_chmod/
 #cd /practice/symbolic_chmod/
 #touch test-file
 #ll
 rw- r-- r--   test-file
 
 (1)파일의 소유자(사용자), 그룹과 기타사용자에 실행권한 추가
 rwx r-x r-x
  #chmod u+x,g+x,o+x test-file
  #chmod a+x test-file
 
 (2) 파일의 소유자의 모든 권한을 제거하고, 그룹은 모든권한, 기타사용자는
     쓰기 권한만 추가
 --- rwx -w-
  #chmod u-rwx,g+w,o-rx+w test-file
 
 (3) 사용자, 그룹, 기타 사용자 모두 읽기와 쓰기 권한만 추가
 rw- rw- rw-
  #chmod u+rw,g-x,o+r test-file
  
- 숫자 모드
  - 각각의 허가권 필드를 3자리의 8진수로 표기
  - 완전환 표기법은 4자리이나 일반적으로 3자리를 사용
 
사용자 필드   허가권  기호  숫자모드

사용자    읽기  r   400   (100단위)
     쓰기  w   200
     실행        x   100
그룹    읽기  r   40   (10단위)
     쓰기  w   20
     실행  x   10
기타 사용자   읽기  r   4   (1단위)
     쓰기  w   2
     실행  x    1
     
ex) rwx r-x r-x
사용자    400 + 200 + 100 = 700
그룹      40 + 10      =  50
기타 사용자  4  + 1   =   5
        = 755
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
사용자 필드   사용자   그룹   기타 사용자
     r w x   r w x   r w x
자리수    4 2 1   4 2 1    4 2 1
2진수    1 1 1   1 1 1   1 1 1
8진수         7      7      7

     r w x    r - x    r - x
     1 1 1   1 0 1   1 0 1
       7      5      5 

     r - x   r - x   r - x
     4 + 1   4 + 1   4 + 1
       5      5      5

test-file     
chmod 744 test-file  ( rwx r-- r-- )

ex) rwx rwx r-x   ( 7 7 5 )
 r-x r-- ---   ( 5 4 0 )
 rw- rwx --x   ( 6 7 1 )    
     
 디렉토리 허가권 테스트
 #cd /practice/symbolic_chmod/
 #mkdir test-dir
 #chmod 000 test-dir 
 --- --- ---
 세션 추가
 1번 세션 root        2번 세션 web-admin1
 #           #su - web-admin1
            $cd /practice/symbolic_chmod/
            
 test-dir 디렉토리의 허가권을 001, 002, 003 ... 007 까지 변경하면서
 허가권 변경하는 명령어 입력 후, 2번세션에서 아래 명령어 테스트
 (1) $cd test-dir X
   성공 시 (2), (3) 진행 후 cd.. 으로 상위 디렉토리 이동 후 다음 권한 진행
 (2) $touch test  W
 (3) $ls    R
 
   --x  (1)  O (2)  X (3) X
   -w-  (1)  X (2)  X (3) X
   -wx  (1)  O (2)  O (3) X
   r--  (1)  X (2)  X (3) X
   r-x  (1)  O (2)  X (3) O
   rw-  (1)  X (2)  X (3) X
   rwx  (1)  O (2)  O (3) O

UMASK - 새로운 파일/디렉토리 생성 시 기본 허가권을 경정하는 기준이되는 값
      - 기본값 022
   - 파일의     기본 허가권 666
   - 디렉토리의 기본 허가권 777
   -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기본 허가권에서 UMASK 값을 뺀 값이 허가권으로 결정
     디렉토리  파일
기본값    777    666
UMASK     022    022
결정된 허가권  755    644
기호    rwx r-x r-x  rw- r-- r--

#mkdir test123  // 디렉토리 허가권 확인
#touch test456   // 파일  허가권 확인

#umask   //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UMASK 값을 확인하는 명령어
0022
#umask [값]  // [값]으로 UMASK 값 변경

#umask 007  // UMASK 값 변경
#umask
0007

디렉토리    파일
777     666    기본값
007     007    UMASK
770     660    적용값
RWX RWX ---   RW- RW- ---

777     666
020     020    UMASK
757     646
RWX R-X RWX   RW- R-- RW-

#umask 022

#cd /home
#ll
rwx------. 2 web-admin1 web_admin 4096 2017-04-02 12:15 web-admin1
drwx------. 2 web-user1  web_user  4096 2017-04-02 12:29 web-user1

#useradd -g web_admin web-admin2

계정   그룹
web-admin1  web_admin
web-admin2

web-admin2 계정이 web-admin1의 홈디렉토리 접근, 읽기, 쓰기가 가능 하도록 설정
단, 기타 사용자 권한은 수정X

#chmod 770 web-admin1
rrwxwx---. 2 web-admin1 web_admin 4096 2017-04-02 12:15 web-admin1

#su - web-admin2
$cd /home/web-admin1 (x)
$touch test1   (w)
$ls      (r)

특수권한의 종류 SetUID, SetGID, StickyBit
SetUID
- 실행파일에 한해서 설정이 가능하며, SetUID 속성이 있는 경우
  실행한 사용자가 아닌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세스(프로그램) 실행된다.
- SetUID는 보통 root가 소유한 실행파일에 적용을 하며, 이런 경우에 해당 파일을
  실행하는 순간에는 root의 권한을 가지게 된다.
 
#ll /etc/passwd  /etc/shadow
 644    400
 rw- r-- r--  r-- --- ---

#su - web-admin1
$passwd     // 명령어 실행 가능
$exit

#ll /usr/bin/passwd
-rwsr-xr-x. 1 root root 30768 2015-11-24 01:30 /usr/bin/passwd

SetUID 설정방법
 기호모드 (u+s)
 숫자모드 (4000)
 
 #cd /practice
 #mkdir SetUID
 #cd SetUID
 
 #touch SetUID-FILE-1
 #touch SetUID-FILE-2
 
 #chmod 4644 SetUID-FILE-1
 #chmod 4544 SetUID-FILE-2
 
 #ll
 -rwSr--r--. 1 root root 0 2017-04-02 14:51 SetUID-FILE-1
 -r-sr--r--. 1 root root 0 2017-04-02 14:51 SetUID-FILE-2
 
 실행 권한이 있는 파일 : s
             없는 파일 : S
    
 #cat > SetUID-FILE-3
 SetUID FILE TEST!!!!!!!!
 #chmod 400 SetUID-FILE-3
 -r--------. 1 root root 23 2017-04-02 14:55 SetUID-FILE-3
 
 #su - web-admin1
 $cat /practice/SetUID/SetUID-FILE-3
 $exit
 
 #ll /bin/cat
 -rwxr-xr-x. 1 root root 45224 2016-05-11 17:59 /bin/cat
 #chmod u+s /bin/cat
 
 #ll /bin/cat
 -rwsr-xr-x. 1 root root 45224 2016-05-11 17:59 /bin/cat

 #su - web-admin1
 $cat /practice/SetUID/SetUID-FILE-3
 
 #su - webadmin1
 
 $whoami
 $who am i
 
 UID - RUID (Real UID)
   web-admin1
    EUID (Effective UID)
   root     pts/1        2017-04-02 22:40 (100.100.100.1)
 
 GID - RGID
    EGID
 
 원상복구
 cat 파일의 SetUID 제거
 #chmod u-s /bin/cat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   
    
    
    
    
    
  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 
  

 

 


   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리눅스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빠진날 3  (0) 2017.04.15
빠진날 2  (0) 2017.04.15
계정생성  (0) 2017.04.01
환경 변수  (0) 2017.04.01
쉘 환경변수 종류  (0) 2017.03.26

#include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#include <time.h>
int main(){
 
 int rnum;
 int i,a,j;
 
 
 srand(time(NULL));
 rnum=rand()%101;

 for(i=0;;i++){
  
  printf("1~100사이 정답입력:");
  scanf("%d",&a);
 if(i==9){
 printf("Game Over 다시 도전해주세요.\n");
 break;
}
  if(a<rnum)
  printf("%d보다 크다.\n",a);
 else if(a>rnum)
  printf("%d보다 작다.\n",a);
 else if(a==rnum) {
 
  printf("정답입니다!\n");
  break;

}
 
  
}
  
   
 }
 
  
  
 

 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