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우팅
- 해당 네트워크가 모르는 작업을 알려주는 것
라우터는 Static 과 Dynamic으로 나뉜다.
[Static]
-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설정
- Dynamic보다 빠르다.
- 단일 경로 일때 사용하면 효율적
[설정]
Router0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20.0 255.255.255.0 1.1.12.2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30.0 255.255.255.0 1.1.12.2
//192.168.20.0 네트워크로 보낸다 1.1.12.2를통해
ip주소대신 보내려는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입력해도 됨.
Router1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10.0 255.255.255.0 1.1.12.1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30.0 255.255.255.0 1.1.23.1
Router2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10.0 255.255.255.0 1.1.23.2
Router(config)#ip route 192.168.20.0 255.255.255.0 1.1.23.2
[Dynamic]
- 라우팅 프로토콜
: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여 상대측에게 보내주는 역할
- 라우팅 프로토콜은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로 나뉜다.
- 속도가 느리다.
- 경로가 2개이상 일때 사용하면 효율적
Distance Vetcor : RIPv1,v2,IGRP,EIGRP,BGP //IGP EGP
Link state : OSPF , ISIS
Classful : RIPv1,IGRP
classless : RIPv2,EIGRP,IGRP //IGRP,EGRP : CIDR
RIP : 벨만-포트 알고리즘
OSPF :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IGRP : DUAC
'Network 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igrp (0) | 2019.01.28 |
---|---|
RIP (0) | 2019.01.28 |
frame-relay (0) | 2019.01.24 |
PPP인증 (0) | 2019.01.24 |
NAT (0) | 2019.01.23 |